내 교과 설정

마이허브 > 교과에도 반영 됩니다.

  • 국어
  • 영어
  • 수학
  • 과학
  • 사회
  • 지리
  • 역사
  • 도덕
  • 기술·가정
  • 정보
  • 음악
  • 미술
  • 체육
  • 연극
  • 한문
닫기
닫기

사이트맵

닫기

중등

  • 역사 1 (김형종) 09개정
HOME 자유학기 · 창체 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달력 속에서 만나는 역사 속 오늘! 달력을 넘기면서 지나간 시대의 인물과 사건을 만나는 시간 여행을 합니다.

미·소 공동 위원회 (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美蘇共同委員會)

1945년 12월의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결정에 따라 한국의 신탁 통치와 완전 독립 문제를 토의하기 위하여, 1946년 1월에 미국과 소련의 대표가 서울에서 조직한 위원회이다. 여러 차례 회의 끝에 1947년 10월 미국이 한국 문제를 유엔에 상정함으로써 자연적으로 해체되었다.

1945년 12월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에서 임시 민주 정부 수립, 미·소 공동 위원회 설치, 공동 위원회와 임시 정부는 5년간의 신탁 통치 협정을 만들 것 등을 결정하였다. 신탁 통치 결정에 대한 찬반 문제로 좌우의 대립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미국과 소련은 1946년 3월 20일 서울 덕수궁 석조전에서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를 개최하였다. 미국 측 대표는 아놀드 소장, 소련 측 대표는 스티코프 중장이었다.


미·소 공동 위원회는 4월 17일 임시 정부 수립을 위한 한국 내의 협의 대상이 될 정당과 단체는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협정에 대한 지지를 약속하는 선언서에 서명해야 한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미국과 소련은 회담에 참여할 정당과 사회 단체 자격 문제를 둘러싸고 대립하였다. 미국은 모든 단체의 참여를 인정해야 다수 의견에 부합하는 정부를 수립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소련은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결정을 지지하는 정당·사회 단체만 회담에 참여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미·소 간에 논란은 난항 끝에 결국 5월 6일 무기한 휴회를 선언하였다. 


미·소 공동 위원회가 무기한 중단되자 좌우 세력의 대립은 더욱 날카로워졌다. 김규식과 여운형 등은 분열된 정국을 통합하기 위해 좌우 합작 운동을 벌이고,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1946. 10). 이러한 속에서 미·소 공동 위원회의 재개를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결국 미군 사령관 하지 소장과 소련군 사령관 치스차코프 중장 사이의 서신, 그리고 미국 국무장관 마셜과 소련 외상 몰로토프 사이의 서신을 통한 장기간의 교섭 끝에 1947년 5월 21일 제2차 미·소 공동 위원회가 재개되어 평양과 서울을 오가며 2차 협상을 벌였다.


 ◀ 미·소 공동 위원회에 피선되어 활동했던 독립운동가 김호(*)


그러나 제2차 미·소 공동 위원회도 협의 대상을 둘러싸고 대립하다가 결국 결렬되었.다. 이에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미·영·중·소 4개국 회담이 맡기자고 제안하였.다. 소련이 이를 거부하자 미국은 한반도 문제를 유엔 총회에 상정하였다. 이에 따라 1947년 11월 14일 유엔은 유엔 감시하의 남북총선거를 가결하였다.

------------------------------------------------------------

* 본 사진은 독립기념관에서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 '2003년 1월의 독립운동가 한사 김호(金乎) 선생 특별전시회 개최'를 이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