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로서, 스마트한 수업과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는 온라인 백과사전 서비스입니다.
1919년 6월 28일, 독일과 연합국 사이에 맺어진 제1차 세계 대전의 평화 협정이다. 파리 강화 회의 중에 완료되었고 협정은 1919년 6월 28일 11시 11분에 베르사유 궁전 거울의 방에서 서명되어 1920년 1월 10일 효력을 발효하였다. 조약은 국제 연맹의 탄생과 독일 제재를 규정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전후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1919년 1월부터 6개월에 거쳐 파리에서 연합국과 독일 사이에 강화 회의가 개최되었다. 파리 강화 회의는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제창한 14개조 평화 원칙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파리 강화 회의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유럽 연합국 간의 이권 문제로 윌슨이 주장한 평화 원칙이 적용되지 못하였다. 베르사유 조약 내용을 작성하는 데에는 미국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 프랑스의 조르주 클레망소 수상, 영국의 로이드 조지 수상, 이탈리아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수상이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강화 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을 토대로 1919년 6월 28일, 파리 근교 베르사유 궁전 거울의 방에 모인 연합국 4개국 지도자들은 총 440개 조항으로 이루어진 평화 조약에 서명하였다. 이것이 바로 베르사유 조약이다. 6월 16일 베르사유 조약의 완성된 조약안을 건네받은 독일 대표단은 조항 규정의 가혹함에 경악을 금하지 못했고, 휴전 협상에서의 약속과는 판이한 조약 내용의 채택에 대하여 격렬한 항의 의사를 표명하였다.
△베르사유 조약 체결: 1919년 6월 28일 독일 대표단이 강화 조약에 서명하였다. 조약이 체결된 베르사유 궁전 거울의 방은 프랑스가 1871년 프로이센(독일 제국)에 패하고 이곳에서 독일 제국 성립이 성립되었기 때문에 이때의 치욕을 갚기 위해 선택한 곳이다.
전범 조항과 배상금 규정은 독일인들에게 참을 수 없는 모멸감을 안겨주었다. 독일의 샤이드만 수상은 서명을 거부하였고, 내각은 21일 총사퇴하였다. 독일 국민은 프랑스기를 불태우는 등 분노를 표출하였다. 독일은 지불 능력이 없다는 이유로 거부하고 배상금의 축소를 위해 연합국과 협상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결국 독일의 새로운 정부는 중국, 미국을 제외한 31개 연합국 열강과 조약의 내용을 인정하였다. 베르사유 조약으로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을 비롯한 31개 연합국과 이에 협력한 국가들 사이에 공식적으로 강화가 이루어졌다.
중국도 참석하였으나 베르사유 조약의 산둥 문제 처리 내용에 반대하여 베르사유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 미국은 상원이 베르사유 조약을 인정하지 않았고 조약에 반대하는 운동이 일어나 1921년 8월에 따로 독일과 '베를린 강화 조약'을 맺었다.
평화 조약 제231 조항은 "모든 전쟁 책임은 독일과 그 동맹국에 있다."라고 명시하였으며, 이 논리는 승전국들이 패전국들에게 전쟁 배상금과 국경의 재설정, 식민지 처분 등을 정당화하였다. 결국 독일은 모든 해외 식민지를 잃었고 프랑스, 벨기에,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등에 영토의 일부를 넘겨야 하였다.
그 결과 독일은 알자스-로렌을 프랑스에게 반환하고 폴란드가 독립하면서 영토의 15%, 인구의 10%를 상실하였다. 오스트리아와의 합병도 금지되었다. 또한 모든 중포와 항공기, 전차, 군함을 연합국에게 양도해야 하였고, 육군은 10만 명 이하로, 해군은 보유함 10만 톤 이하로 제한되었으며, 공군과 징병제는 금지되었다. 1320억 마르크의 배상금도 결정되었다.
베르사유 조약 이후 승전국은 패전국과 개별적인 조약을 맺어 전후 처리를 마무리지었다. 그 결과 베르사유 체제라는 새로운 국제 질서가 탄생하였다. 베르사유 조약 체결 이후 세계 각국은 평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국제 연맹을 창설하였다.
그러나 이 기구의 창설을 주장한 미국이 참가하지 않았고, 침략 국가를 제재할 수 있는 군사력을 갖추지 않아 제 기능을 하지 못하였다. 베르사유 체제는 패전국에 가혹한 보복을 가해 독일의 불만을 불러일으켰고, 또 다른 전쟁의 위험을 키우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베르사유 조약 체결 결과 마련된 유럽의 국제 질서를 ( )라고 한다.
관련된 나의 지식을 등록하여 공유할 수 있습니다.
총 0개의 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