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로서, 스마트한 수업과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는 온라인 백과사전 서비스입니다.
줄기와 잎을 이용하여 자료를 나타낸 그림
다음과 같이 많은 변량이 무질서하게 나타나 있는 자료의 경우에는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주어진 자료를 알아보기 쉽도록 정리할 필요가 있다.
자료에서 가장 작은 값은 \(13\)이고 가장 큰 값은 \(108\)이므로 왼쪽 칸에 십의 자리와 백의 자리 숫자를 나타내고 오른쪽 칸에 차례대로 변량의 일의 자리 숫자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나타낸 그림을 줄기와 잎 그림이라고 하며, 왼쪽 칸에 있는 수를 줄기, 오른쪽 칸에 있는 수를 잎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줄기와 잎 그림은 잎을 작은 것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줄기와 잎 그림에서 왼쪽 칸에 있는 수를 \(\square\), 오른쪽 칸에 있는 수를 \(\square\)이라고 한다. |
1. 줄기와 잎을 구분하고 잎 부분을 순서대로 나열하지 않은 것도 줄기와 잎 그림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런 경우 가장 작은 값, 가장 큰 값, 가장 자주 나타나는 값을 알려면 잎 부분의 자료를 다시 정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처음부터 잎 부분도 순서대로 정리하는 것이 편리하다.
2. 줄기와 잎 그림에서 \(13, 14, 15\) 등을 나타내는 경우는 \(1 | 3=13\)과 같이 그림에서 나타내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표시하여 주는 것이 좋다. \(| \)의 왼쪽 숫자는 줄기를, \(| \)의 오른쪽 숫자는 잎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자료가 \(1300, 1400, 1500\)인 경우 줄기를 \(1\), 잎을 \(300, 400, 500\)으로 나타내는 것보다는 줄기를 \(1\), 잎을 \(3, 4, 5\)로 나타내되 \(1 | 3=1300\)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그림이 간편하고 알아보기 쉽다.
3. 줄기와 잎 그림에서 \(1 | 0=10\)을 의미하므로 잎이 \(0\)이라고 해서 아무것도 없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0\)을 잎에 꼭 써넣도록 주의한다.
관련된 나의 지식을 등록하여 공유할 수 있습니다.
총 0개의 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