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칭백과

티칭백과란?

교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로서, 스마트한 수업과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는 온라인 백과사전 서비스입니다.

지원 서비스
- 주제별 맞춤 지식 공유
- 다양한 스마트 기기 지원
- 멀티미디어 자료 제공
Home > 중등 > 수학 > 수학①

줄기와 잎 그림stem and leaf diagram

트위터 페이스북 메일 프린트 url복사

줄기와 잎을 이용하여 자료를 나타낸 그림

다음과 같이 많은 변량이 무질서하게 나타나 있는 자료의 경우에는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주어진 자료를 알아보기 쉽도록 정리할 필요가 있다.
자료에서 가장 작은 값은 \(13\)이고 가장 큰 값은 \(108\)이므로 왼쪽 칸에 십의 자리와 백의 자리 숫자를 나타내고 오른쪽 칸에 차례대로 변량의 일의 자리 숫자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나타낸 그림을 줄기와 잎 그림이라고 하며, 왼쪽 칸에 있는 수를 줄기, 오른쪽 칸에 있는 수를 잎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줄기와 잎 그림은 잎을 작은 것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관련교과서 : 금성 138쪽, 비상 151쪽, 두산(강) 169쪽, 천재(이) 192쪽, 미래엔 122쪽
확인문제
다음 \(\square\) 안에 알맞은 말을 써넣어라.

줄기와 잎 그림에서 왼쪽 칸에 있는 수를 \(\square\), 오른쪽 칸에 있는 수를 \(\square\)이라고 한다.

정답 확인하기

더 알아보기

1. 줄기와 잎을 구분하고 잎 부분을 순서대로 나열하지 않은 것도 줄기와 잎 그림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런 경우 가장 작은 값, 가장 큰 값, 가장 자주 나타나는 값을 알려면 잎 부분의 자료를 다시 정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처음부터 잎 부분도 순서대로 정리하는 것이 편리하다.

2. 줄기와 잎 그림에서 \(13,  14,  15\) 등을 나타내는 경우는 \(1 | 3=13\)과 같이 그림에서 나타내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표시하여 주는 것이 좋다. \(| \)의 왼쪽 숫자는 줄기를, \(| \)의 오른쪽 숫자는 잎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자료가 \(1300,  1400,  1500\)인 경우 줄기를 \(1\), 잎을 \(300,  400,  500\)으로 나타내는 것보다는 줄기를 \(1\), 잎을 \(3,  4,  5\)로 나타내되 \(1 | 3=1300\)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그림이 간편하고 알아보기 쉽다.

3. 줄기와 잎 그림에서 \(1 | 0=10\)을 의미하므로 잎이 \(0\)이라고 해서 아무것도 없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0\)을 잎에 꼭 써넣도록 주의한다.

참고자료

관련용어

지식나눔

관련된 나의 지식을 등록하여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의견나눔

0개의 의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