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 의병 전쟁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항일 의병이 활발히 일어났다. 의병이 일어난 시기에 따라 전기 의병(을미의병), 중기 의병(을사의병), 후기 의병(정미의병)으로 구분한다. 의병 투쟁은 일제 강점 이후 독립운동과 독립군 기지 건설 운동의 밑거름이 되었다.

전기 의병(을미의병)

일제의 침략에 맞서 가장 격렬하게 전개된 항일 운동은 의병 투쟁이었다.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후부터 시작된 의병 투쟁은 명성 황후 시해 사건에 이어 정부가 단발령을 공포하자 전국 곳곳으로 확산되었다. 


유인석, 이소응 등 위정척사 사상을 지닌 유생들은 단발령을 비롯한 개화 정책을 비판하며 의병을 일으켰다. 이를 통해 유교 윤리를 수호하고 외세를 몰아내고자 하였다. 농민과 동학 농민군의 잔여 세력도 의병에 적극 가담하였다. 이들은 지방 관청이나 일본군을 공격하고 개화파 관리들을 처단하였다. 하지만 양반 유생 의병장들의 신분 차별 의식으로 인해 결집되지 못하여 전력이 취약하였다. 


아관 파천 이후 고종이 단발령을 취소하고 의병 해산 권고 조칙을 내리자 의병은 대부분 해산하였다. 그후 동학 농민 운동이나 의병에ㅔ 참여하였던 백서은 활빈당 등의 무장 결사를 조직하여 투쟁을 이어갔다. 활빈당은 1905년 무렵 지도부 대부분이 체포된 뒤에 잔여 세력이 의병에 합류하였다.   



중기 의병(을사의병)

 러·일 전쟁 발발 이후 일제의 침략이 본격화되고 을사조약으로 나라가 큰 위기를 맞게 되자, 수많은 의병이 일어나 항일 구국 투쟁을 전개하였다. 이때에는 유생뿐만 아니라 평민 출신 의병장이 크게 활약하였는데, 이를 중기 의병이라 한다. 

 

을사조약이 강요되자 민종식은 한때 1천여 명의 의병을 모아 충청남도오의 홍주성을 점령하여 기세를 올렸으나, 일본군의 반격으로 후퇴하고 말았다. 최익현은 제자들과 봉기하여 정읍, 순창 일대를 장악하였다. 그러나 관군이 출동하자 항전을 중지하고 체포되어 일본군에게 넘겨졌고, 대마도(쓰시마 섬)에 유배되어 순국하였다. 


 평민 의병장 신돌석은 경상도와 강원특별자치도 경계에 있는 일월산을 근거지로 의병 부대의 규모를 강화하고, 신출귀몰한 유격전을 펼쳐 일본군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였다. 그의 부대는 민중뿐만 아니라 양반으로부터도 큰 호응을 받았다. 


△ 여러 계층의 사람들로 구성된 의병(1907)어린 소년부터 군인까지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되었다. 


후기 의병(정미의병)

고종 황제가 강제로 퇴위당하고 군대가 해산되자, 의병 항전은 더욱 거세졌다. 서울 시위대를 비롯한 각지의 해산 군인들이 의병에 가담하여 전투력이 강화되고, 국권 회복 투쟁도 더욱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이 때의 의병을 후기 의병이라고 한다. 후기 의병은 유생과 농민, 해산 군인뿐만 아니라 노동자, 상인, 교사와 학생 등 전 게층이 참여한 전국정인 항일 구국 전쟁으로 발전하였다. 


의병 전쟁이 확산되자 의병 간에 연합 전선이 모색되었다. 이에 유생 의병 장들이 중심이 되어 13도 연합 의병 부대(13도 창의군)을 결성하였다. 경기도 양주에 집결한 의병은 이인영을 총대장으로 추대하고 서울 진공 작전에 나섰으나, 우세한 화력의 일본군에게 가로막히고 말았다. 


 서울 진공 작전이 실패한 후에도 의병의 항일 전쟁은 게속되었다. 가장 활발한 지역은 몰락 양반, 평민, 천민 출신 의병장이 활동한 호남 지방이었다. 호남 의병은 유격 전술을 펼치며 끊임없이 일제에 타격을 가하였다. 그러자 일본은 남한 대토벌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많은 병력을 동원하여 2개월 도안 의병 부대의 근거지가 될 만한 촌락과 가옥을 초토화시켰다.


△ 체포된 호남 의병장들호남 지방에서 활약하다 일본의 남한 대토벌 작전으로 체포된 의병장들의 모습이다. 



출처 : 직접집필

확인문제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이에 반발하여 의병을 일으켰으나, 대마도(쓰시마 섬)에 유배되어 순국한 유생 의병장은? 

정답확인하기

더 알아보기

관련용어 (1)

지식나눔 (0)

의견나눔 (총 0) 의견등록

등록